eCPM란 뭘까? 의미와 구하는 방법( CPM, RPM과의 차이는? )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_이슈

eCPM란 뭘까? 의미와 구하는 방법( CPM, RPM과의 차이는? )

by 꿈꾸자인생 2020. 10. 12.

광고용어정리_CPM의미_eCPM의미_RPM의미_차이

 

 

 

잡학다식이슈연구소입니다. 

오늘은 CPM, RPM, eCPM의 의미와, 각각의 차이에 대해 비교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그 전에 '광고수수료'에 대해 간단히 먼저 말씀드리겠습니다. 

 

 

 

※ 관련 포스팅

1. 구글 애드센스에서 퍼블리셔와 광고주의 차이는? | 캠페인이란 뭘까? | 애스센스 광고의 기본 개념?   

2. 애드센스 블로그분석 광고용어 정리 | CPC | CPV | CPC, CPV와 CPM과의 차이 | CTR | CPI | CPA 등

 

 

 

 

광고주의 광고비용

= 퍼블리셔의 광고수익(약68%) + 구글에게 주는 '수수료 약(32%)


여기서 얻을 수 있는 insight는, 예컨데 CPC라고 하면 Cost Per Clicks의 약자로서 클릭당 '비용'을 일컫는 말입니다. 이는 '광고주'가 광고를 하려할 때, 클릭당 얼마를 내겠다 라고 과금방식을 직접 정한것입니다. 따라서 '광고주 입장'에서의 '광고 비용'을 말합니다. 

 

 

 

하지만 이 광고용어 관련 검색하다 보다 보면, 분명 'cost' 즉, '비용'이라는 의미인데에도 '수익'으로 풀어 써있어 헷깔리게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최종적으로 제가 이해한바는 '광고주가 내는 비용'은 결국 퍼블리셔들에게 돌아오는 '수익'이라 말할 수 있겠다라는 것이었습니다. 단, 수익은, 비용에서 구글에게 주는 '수수료 약 32%'가 기본으로 깔려있다는 것을 전제한다면 말이죠!

 

 

아래에 써내려갈 CPM의 경우, 여러 웹사이트들에서는 '노출수 1000회당 지불해야할 광고주 입장에서의 비용'의 의미입니다만, CPM의 경우, effective란 단어만 추가되는데, 퍼플리셔 입장에서의 광고가 1000회 노출되었을 때, 수익성을 타나내는 지표로서 사용되기도 합니다. 맨 앞 'e'만 제외하면, Cost Per Mille로 동일한 용어를 사용하는데에도 말이죠.  

 

 

 

그래서 헷깔렸으나, 결론적으로

광고주의 광고 비용에는 수수료가 기본적으로 깔려있다 있을뿐, 비용이 올라가는만큼 수익도 비례해서 올라가니, 비용 ≒ 수익으로 간주 할수 있고 그래서 eCPM을 말할 때, '수익'이란 단어로 풀어서 말할수 있겠다 라고 이해했습니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아래를 보시죠.

 

 

 

 

CPM의 의미는?


= Cost Per Mille

= 1000회 광고 노출당 비용 

 

 

'광고주 입장'에서 광고단가를 산정방식입니다.

광고가 1000회 노출되는 것을 기준으로 광고 비용을 지불 하겠다는 것입니다. 

예컨데, 저의 블로그 유입자증대를 위해 '블로그 광고'를 하고자 한다면, 구글애즈에서 캠페인을 만들어 과금 방식을 설정할 때 CPM기준으로 광고 1000회 노출당 5달러 지불을 하기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과금산정은 만약 1만회가 노출되었을 경우, 50달러를 지불해야 하는 것이죠. (10000/1000 * 5달러 = 50달러)

 

 

 

 

eCPM의 의미와 CPM과의 차이는? (광고주 입장, 퍼블리셔 입장) 


= Effective cost per 1000 impressions  (또는 Effective cost per mille)

   (여기에서 impressions 라는 단어의 의미는 '명사'로 '광고 노출되는 횟수'를 의미. )

= 총 광고 비용(수익) / 총 유효 노출수 * 1000

= 1000회 유효 광고노출 당 '광고주'에게 발생하는 '비용'

   or 1000회 유효 광고노출 당 '퍼블셔가' 가져가는 '수익'

 

 

1) '퍼블리셔' 입장에서 eCPM

'1000회 유효 광고 노출시 퍼블리셔에게 발생되는 예상 광고 수익' 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Adfit에서도 제 블로그의 수익을 확인할때 이 eCPM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eCPM이 높으면 광고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더 많은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라고 이해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애드핏 _ 블로그 수익성확인 창 _ eCPM이 보인다.

 

 

 

2) '광고주' 입장에서 eCPM (→ CPM과 eCPM의 차이)

광고주 입장에서는 eCPM을, 광고비용 과금방식이 서로 다른 광고들을 'eCPM'으로 바꾸어 서로 비교 가능하게 해주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이게 무슨 말이냐면, 만약 광고주 입장에서 CPC, CPA, CPM 등의 서로 다른 과금 방식으로 설정된 광고들을 가지고 있다면, 어떠한 광고가 비용 대비 효과적인지를 알기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들을 모두 '총비용'과 '1000번 광고노출'이라는 이 두 가지 변수의 eCPM으로 통일시켜, 광고의 효율적인 사용과 전략적인 방법모색이 가능도록 해주는 것이죠. 아래를 볼까요?

 

 

 

유저들이 광고를 클릭될때마다 광고비용이 집행되는 CPC로 만든 광고든, CPA로 만든 광고든 모두 'total cost(각 광고당 발생되는 전체 비용)'과 '1000회 광고노출' 이 두가지 변수로 바꾸어 eCPM라는 지표로 통일시켜볼 수 있습니다. 

 

 

과금방식이 다른 광고를 eCPM으로 통일 시키는 방식

 

 

 

예컨데, CPC기준으로 1번 클릭당 $2달러의 광고비용을 설정해 놓은 광고가 있다고 치겠습니다. 그런데 100,000번 광고 노출이 되어 2000번 클릭이 되었습니다. 이를 eCPM으로 바꾸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CPC와 eCPM의 관계? 공식

 

 

eCPM으로 모두 바꾸어 비용을 계산해보면, 어떠한 산정방식의 광고를 더 많이 게재해야겠다 라는 식의 전략설정이 가능해 집니다.

물론, 광고주 입장에서는 단순 광고노출을 원할 수도 있고, 클릭이나 판매로 이어지는 것을 원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eCPM만 광고의 효과성을 따지는것은 어렵겠지만 그래도 현재 게재한 광고의 효과성이 상대적으로 타 광고 대비해서 어느정도다 라는 것까지는 확인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래를 보죠. 아래는 애드핏 결과인데 이를 광고주 입장에서 볼께요. 

 

 

여기에서 eCPM이 없다면 어떨까요?

예를들어 광고주가 아래와 같이 A(CPC), B(CPM)라는 광고 만들었습니다. 예상적립금을 보면, A광고가 3배정도 높습니다. 그런데 광고노출수도 A가 3배 높아 무엇이 효과적이었다라고 비교하기 애매합니다.

 

광고주 입장에서는 저비용으로 더 많은 광고노출과 같은 원하는 광고퍼포먼스를 냈으면 했을텐데, 비용은 B가 적었지만 광고노출수는 A가 높으니까요. 

 

 

 

하지만 이를 eCPM으로 통일 시켜보면 어떨까요? 이 경우, A가 낮습니다.

즉, 광고주가 생각하길, '똑같이 1000번 노출 시키는데 비용은 A가 싸네?' 라고 비교가 가능해지는 것입니다. 광고주 입장에서는 굳이 CPM으로 할 필요가 없다면 B도 CPC 과금 방식의 광고로 전환하는게 나을 것입니다. 과금 방식을 바꿀 수 없다면 그냥 상대적인 비교 자체가 가능하겠죠.

 

eCPM의미

물론, 퍼블리셔입장에서는 eCPM이 높을 수록 좋습니다.

블로그에 광고를 넣어놨는데 eCPM이 높다는 것은, 똑같이 1000회 노출되었을 때, 가져가는 '수익'이 더 높다는 것이니까요. 이 경우, 퍼블리셔입장에서는 더 eCPM이 높은 광고의 위치, 종류 등의 분석을 하여 전략적인 광고배치 등을 꾀할 수 있을 것입니다. 

 

 

 

 

RPM의 의미는?


= 예상수입 / 페이지 조회수 * 1000

= 1000회 노출 당 예상수익

= 페이지 조회수 25회. 예상수입이 총 0.15달러면. 

   예상수입 / 페이지 조회수 = 0.006이고 이는, 1회 페이지 조회수당 예상수입이 될 것이죠.

   여기에 1000회를 곱한 6달러가 1000회 노출시 예상되는 수입이 되는 것입니다. 

 

 

 

eCPM과 RPM의 차이는?


RPM의 의미는 위에 기입된 '1000회 노출 당 예상수익' 과 같습니다. 따라서 퍼블리셔입장에서의 eCPM의 의미와 동일하다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http://adsense-ko-test.blogspot.com/2011/11/ecpm-rpm.html

 

 

 

 

출처


1. https://www.marketingterms.com/dictionary/ecpm/

2. https://www.ironsrc.com/ko/blog/what-is-ecpm/  

3.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028529&cid=42914&categoryId=42915  

 

 

 

 

 

댓글